일본 마이크로소프트(MS)가 정사원 23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 한 달간 주 4일제를 도입한 결과
사원 1인당 매출이 40% 증가했다.
업무시간은 종전보다 25% 줄였지만 임금과 각종 휴가 등 처우는 그대로 유지한 결과였다.
대신 업무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사원들의 업무책임과 목표는 바꾸지 않았다.
불필요한 업무를 없애고 회의시간도 30분 이내로 마치는 비율을 전년보다 50% 가까이 늘렸다.
일본 MS 측은 지난 2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에 “매출이 많이 늘어난 것은 ‘윈도우즈 10’ 전환 수요와 \
관련이 있다”면서도 “(사원들의) 생산성이 향상된 것은 사실”이라고 밝혔다.
일본 MS는 시범적으로 시행한 결과를 분석해 주 4일제 전면 도입을 검토 중이다.
뉴질랜드의 자산운용사 퍼페추얼 가디언도 이른바 ‘워라밸(work-life balance)’ 도입에 따라
2018년부터 주 4일제를 운영하고 있다.
그 결과 생산성이 20% 증가했다. 일본 MS와 마찬가지로 임금은 줄이지 않고 회의단축,
매뉴얼 작업의 자동화 등을 선택한 결과였다.
주 4일제 도입을 전후해 조사한 결과 종업원의 스트레스 수준은 낮아졌다.
자연스럽게 가족과 지내는 시간이 늘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여유까지
생겼다. 이전보다 나은 업무성과를 보이는 직원도 늘었다.
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퍼페추얼 가디언은 아예 주 4일제를 정착시켰다.
하지만 주4일 근무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문제점도 있다.
시간 단위 임금구조가 현실인 이상 주 4일제는 필연적으로 가계소득 감소로
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.
일본에서 1990년대 주 5일제를 도입한 이후 일본경제가 장기 침체기에
빠졌다는 분석도 있다.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교수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가
2002년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에서 ‘1인당 평균 노동시간의 감소와 생산성의 저하가
심각한 경기후퇴를 촉발한다’고 지적했다.
주 4일제를 도입하기 위한 관건은 결국 ‘임금문제’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.
일본 MS 사례에서 보듯 노동시간이 아니라 성과기반의 임금이 보장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.
장황한 회의시간과 쓸데없는 일들을 과감히 줄이는 경영혁신도 기업들의 과제라 할 것이다.